LIKE A FEVER

Interview with Kyungwon Moon

AAA's researcher for Korea Sunghee Lee spoke with Korean artist Kyungwon Moon about her interest in the historical memory of space, the metaphorical strength of the 'greenhouse' and her reasoning for the use of media in her artwork

 

Sunghee Lee (LSH): Let us start with your group exhibition ‘Beginning of New Era’ (2009), for which you were commissioned to make video art at the exhibition site, the former Defense Security Command (DSC). Notably, the DSC is a DMZ-like place in the middle of downtown Seoul, which was previously the home of Sogyeoksoe (the National Taoist Temple) and Gyujanggak (the Royal Library) before turning into the site of a military general hospital, as well as the DSC. You found a ‘greenhouse’ on the roof of a building there, and produced a semi-documentary that combined historical fact and artistic imagination, resulting in Superposition (2009). Can you tell us about the contents and production method of this work?

Kyungwon Moon (MKW): As the DSC was relocated, the ‘Beginning of New Era’ group exhibition was held to commemorate the opening of the former DSC site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The empty site will be transferred to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the spring of 2012.

Superposition conveys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irst of all, to tell the truth, I did not know anything about the area, or the purpose and historical meaning of this location, until I started working on the project. I visited the area after the DSC was relocated, and researched the location’s historical background. All of a sudden, a stream of thoughts began to come through. Especially when I came across the greenhouse on the rooftop of the empty building, I found that the weight of historical importance and the rather light atmosphere created a mysterious and psychological image. Along those lines, something gave me the motivation to use the superficial and psychological landscape of the greenhouse as a metaphorical device. Although I utilised a documentary process, I ended up producing a semi-documentary, combining both facts and my imagination to portray the presence of the mysterious site. Superposition is in documentary format in order to explain the historical facts, but as an artist, I wanted to create and try a new and more creative methodology: giving an artistic, visual explanation rather than just a factual narration. As I looked into the greenhouse, I wanted to create a cognitive landscape and deliver a metaphorical explanat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mories of the space; I did so by utilising computer graphic images of the vines of mutated plants, and by creating an experimental atmosphere that filled the empty greenhouse with an historical and personal microscopic imagination.


LSH: Superposition 2009 is precursor to GreenHouse I, II_1909, which you showcased at your 2010 solo exhibition, and in which you utilise the greenhouse at Changgyeonggung as the subject matter. Your work focuses on a historical encounter that you have never directly experienced, while reconstructing the past and present. What led you in this direction?

MKW: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ransferring real-life landscapes into art. That’s why I wanted to create a whole new image of landscapes using a historical and personal microscopic imagination. Many people, including myself, have only known of the existence of the greenhouse at Changgyounggung from historical textbooks, but the place actually exists in our present time in real life. Playing with the law of perspective, I tried to portray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greenhouse, depicting the historical meaning behind the pale greenhouse through my personal perspective of Changgyounggung.


LSH: What is the meaning of ‘greenhouse’ in the context of your work? Is there any social context involved?

MKW: The greenhouse is an allegorical space that describes the tools, systems, constitutions, and history in the psychological and superficial life landscapes of human beings in modern society. Totally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the greenhouse is a place where 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controlled. The greenhouse is a mysteriously peculiar place; different from the outside world, but new life exists just as on the outside. For this project, I wanted to metaphorically portray the landscape of modern society by using the greenhouse’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reminiscent of allegory and superficiality.


LSH: Some of your works—such as Passage: Cityscape_Sungnyemun (2006), which takes on Sungnyemun (the South Gate), one of four gates of Seoul—examine historical fact and landscape through the medium of time. Can you tell us about this work?

MKW: I have been working on the Passage series, which is a series of portraits depicting lives, landscapes, cityscapes, and history constantly going through change as time goes on. Sungnyemun has been invariable, although its surrounding area has gone through multiple dynamic geometrical and historical changes. In 2006, I stood under the arched gate of Sungnyemum, which was opened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in 99 years. I had always observed Sungnyemun from the outside, and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I looked outward at the surroundings from Sungnyemun. This was the turning point for me to begin working with landscapes; recording and reinterpreting with microscopic imagination. I remember filming the landscape while I was circling around under the arched gate of Sungnyemun on a cold day in 2006.


LSH: So, it seems like the sad historical incident of Sungnyemun burning down carries a special significance for you. How did you react to that? And, what effect did that have on your work?

MKW: The 2008 fire at Sungnyemun, one of Seoul’s four great gates and the No. 1 National Treasure, was a devastating and shocking incident for the entire society, including myself. This incident also gave me a big sense of loss, especially because, having worked there previously, I had become very affectionate towards the space. I visited the location right after the 2008 fire. I still can’t forget the scent of burnt aged pine trees over the heap of ashes. As time goes by, many institutions and companies have held promotions and events to encourage people dealing with the societal loss. This was an unforgettable moment, and I continued to work on the second and third part of the Passage Series, which I had worked on since 2006. Last year, the Sungnyemun project was shown on the façade of Seoul Square Media, and I personally think the site was perfect for the project. Located between the Sungnyemun reconstruction site and the Seoul Station, the project became a media canvas facing the area where people arrive and depart at the Seoul Station. People encountered the history and memories of Sungnyemun through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Sungnyemun's image on the media canvas. I have finished the synopsis for my next project, a semi-documentary on Sungnyemun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history, and myths of the Joseon Dynasty.


LSH: While we are on the topic of a site and its surrounding landscape, we must mention Sky-Recorded Today, which is installed at the Genius Loci (Meditation Center) designed by Japanese architect Tadao Ando on Jeju Island. How did you come up with this subject?

MKW: This work was intended to let people experience and face the time that existed in the past. This particular project actually originated from the unpredictable climate change on Jeju Island. Even on a clear and sunny day, viewers can see a cloudy or even a rainy sky from yesterday because the video image of sky being played for the project was actually filmed a day before. I designed a program to record and play a video image of the sky that was filmed 24 hours prior, and this video image is played along with five other videos that I previously produced.


LSH: In this project, you collaborated with a well-known architect; what was that like? Do you enjoy collaboration with artists from other fields? If so, tell us how you manage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MKW: Collaboration with people from different fields has always been a valuable experience because it provides me with more knowledge and experience, especially when discussing the same topic. Each project has a different procedure, but usually in order to go through and finish the actual project, people need to have numerous conversations and hold multiple meetings. In order to persuade others, logic is necessary, and each person has to objectively reevaluate and examine his/her or her own point of view. This is the same when working with a staff for any other production. Working with other people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and understanding the depth of works.


LSH: This work was developed for the window gallery tour project Bubble Talk, which took place during two months in 2008 in spaces including the Total Museum, Workroom, Window Gallery, OneandJ Gallery, and doART Seoul. What relationship do the four spaces have to each another?

MKW: Bubble Talk was produced around the same time as the Jeju Island work. The places—Pyungchang-dong, Sagan-dong, Tongui-dong and Insa-dong—are all meaningful and symbolic locations that recall landscap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e window architectures of galleries and museums within these places depict continuously transforming landscapes over time, and by following them we are able to witness the chronology of Korean Art History. The original plan was to show these places simultaneously, crossing over each other, and therefore emphasise each and all of them at once; however, I later showed each place individually, considering the available schedule of each location. Thus, I tried to actually visualise ordinary binary opposites, such as the past and the present, reality and illusion, and the act of seeing and being seen.
 

LSH: But why a ‘bubble?’ Indeed, the word ‘bubble’ is not especially strong, and has some negative connotations. Why did you place the 'landscape’ within a bubble?

MKW: No, a bubble is not particularly strong. A ‘bubble’ is normally perceived as something of the moment, futile, or light, and so on. And these definitions all lead to the common perception—fragility, which may come across as negative. However, the bubbles that I’ve presented float in different places in the work, and most importantly, they don’t pop. The bubbles represent art itself, or my attitude towards art. Or, they may be recognised as ‘subjects defined as artworks’. The bubble is a device for revealing the intricate mechanisms of art, as it is a question directed at art’s role and its conduct.


LSH: How would you describe your personal attitude and philosophy toward art?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n Korea, you studied media art at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in the U.S.—how did the American academic system and life in the U.S.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your thinking about art?

MKW: It was definitely an opportunity to mull over my attitude towards art. I thought a lot about art’s conceptual implications, and its role in our society and culture, rather than the physical and the aesthetic sides of it. In other words, it was a time that allowed me to grasp the fundamentals of art. And I think that all these experiences (the experience of living in the American society as a foreigner, the experience of obtaining the tools which enabled me to express myself in various ways, and the experience of expanding my work with performing arts, cinema, and theatre) allowed me to work more flexibly later.


LSH: What’s your next project? Are you currently working on anything you want to share with us?

MKW: I’m currently engaged in a project where I plan to create virtual conversations based on interviews with people of various professions. I began this project based on personal interest, and it was further organised at Tokyo Wonder Site, which was held last fall in Tokyo, Japan. Conversations begin with discussions on topics such as ‘the issues pertaining to the existence of art today’, to ‘the role and function of art in society’, and ‘the geopolitics of today’s artists and their artistic attitude and conduct’,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approach and scrutinise the practical values of art from various perspectives, with the aid of other people’s opinions on art. I intend to further develop this project by producing an interesting visual product from the interviews I conducted with architects, composers, sociologists, scientists, critics, and artists. I plan to adopt the format of editorial cartoons, or to create a different version of my most recent similar work, Bubble Talk. Furthermore, this project will eventually become a synopsis for a collaboration project, to be executed in 2012.


LSH: You are often referred to as a ‘media artist’ because of the media technology that you utilise in your work. However, from the beginning of your career to the present, you have used analog drawings and digital programs simultaneously, and you worked in various mediums, including drawing, painting, video, animation, and installation in your 2010 solo exhibition. What role does ‘media’ play in your mind? Could you tell us about your working process? 
 
MKW: I begin my work by drawing. It is an important step where I can actualise my imagination and ideas. This process could be compared to cooking; it is like generating a new recipe for a gourmet meal. Choosing the medium is similar to selecting the right utensils for a recipe. Then, I categorise the sources of images and build a database, just as if I were sorting the ingredients. And finally, there is the process of adding them all up: I either try to create a new narrative by editing the sources, or try to write new codes that interpret the various imageries in my imagination, as if I’m making good flavours.

To me, media is one of several very useful tools for carrying out an idea. It is a good ‘medium’ that already contains the essentials of expression and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Of course, unlike in traditional art, the expansion of technology and blending of different art fields in contemporary art opens the door to direct communication in a different dimension.


LSH: A repeating motif in your work is ‘landscape’. We frequently observe landscapes, but we are usually unaware of our own presence in another’s landscape, and unaware of the presence of life in objects and landscapes. However, you help us realise that a landscape lives and breathes with human beings in a variety of forms. What does ‘landscape’ mean for you?

MKW: The ‘landscape’ that I intend to convey is the love towards mankind and the world. I reject a ‘stuffed’ landscape that only consists of a relationship between an object and that object in the absence of mankind, or humanity, for that matter. The landscape that I translate and depict anew is how art lives and breathes around us today.

 
[img]1[/img][img]2[/img][img]3[/img][img]4[/img][img]5[/img][img]6[/img][img]7[/img][img]9[/img][img]9[/img][img]10[/img][img]11[/img]
 
 
이성희: 2009년 국군기무사령부(이하 ‘기무사)에서의 그룹전 <신호탄>에서부터 얘기를 시작해보죠. 사실 기무사는 소격서나 규장각으로 시작하여 육국통합병원과 기무사로 변신한 서울 도심 한 복판의 DMZ 같은 곳인데요. 작가님은 이곳의 한 건물 옥상에서 발견한 ‘온실’을 소재로 역사적인 사실과 작가적 상상력이 결합된 최초의 상상 다큐멘터리 작품 <박제(Superposition)>을 선보였습니다. 작업의 내용과 제작 방식이 궁금합니다.
 
문경원: <신호탄>전은 기무사였던 장소가 이전하면서, 이 역사적 장소가 처음으로 민간에 공개되고 2012년 봄에 국립현대미술관으로 건립되는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된 전시입니다. 
이 작업은 한국의 근대사가 녹아있는 프로젝트입니다. 사실 이 작업을 시작하기 전까지,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한 소격동 165번지 일대인 이곳의 평소 용도와 역사적 의미에 대해 잘 몰랐습니다. 작업을 위해 기무사 이전 후 남아있는 곳에 가서 실제 역사의 궤적을 따라 장소적 의미를 리서치하며 많은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빈 건물의 옥상에서 발견한 온실은 역사적 무게감과 실제 현장의 생경함이 묘한 심리적 이미지를 연상시켜주었고, 이는 이후 은유적 장치로서 온실 환경의 인공성과 심리적 풍경을 만드는 계기를 제공했습니다.
그래서 다큐멘터리적 관점에서 어떤 역사적인 사건이나 사실들을 좇아가는 한편, 그 사이 사이에 제 개인적인 작가적 상상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일종의 상상 다큐멘터리 작업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큐멘터리적인 접근이지만, 그것을 텍스트로서 설명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예술가가 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화, 접근 방식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이 온실 작업에 등장하는 풍경을 보면서, 저는 어떤 심리적 풍경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식물들이 자라나는 CG 박제를 통해서 역사적 무게나 이야기들의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빈 온실 공간 안에 어떤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듯한 온실과 실험실적인 분위기를 만듦으로써 그 시대의 역사적 이야기, 장소가 기억하는 하나의 풍경을 연출하고자 했습니다.
 

이성희: <박제>는 이후 2010년 개인전에서 선보이는, 창경궁의 대온실을 소재로 한 작품 의 전조가 됩니다. 이 이야기들에서 작가님은 과거와 현재를 재구성하면서 직접 체험하지 못한 역사와 조우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왜 이러한 작업을 하게 되셨나요?
 
문경원: 평상시 현실 풍경을 ‘예술’로 번역하는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역사와 개인의 미시적 상상이라는 연결 장치를 통해 하나의 새로운 풍경으로 풀어보고자 한 것입니다. 창경궁의 대온실 같은 경우도 이미 하나의 역사적 텍스트로서 읽혀지고 있는 곳이지만, 현재도 고궁 속에 대온실로 실재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 백색 온실 공간 이면의 역사적 의미를 원근법을 이용해 재구성하고 전시 공간에 옮겨놓으면서, 제가 바라보는 현재 풍경의 대온실을 연출하고자 했습니다.
 

이성희:여기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그린하우스; 온실’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어떤 사회적 맥락이 개입되어 있는 것인가요?
 
문경원: 이는 현대사회 속에서 느끼는 장치, 시스템, 제도, 역사 등의 인간의 심리적, 인공적 현실 풍경을 은유하는 상징적 공간입니다. 온실은 외부 환경과 완전히 차단된 빛, 온도, 습도등 모든 것이 세팅되고 그 안과 밖이 전혀 다른 묘한 공간이면서 그 속에서는 어쩄든 새로운 생명이 자라나는 곳이기도 하니까요. 이와 같은 온실이 지닌 고유한 특성, 의미 등에서 연상되는 상징성, 인공성을 현대사회의 풍경으로 은유하고자 했습니다.
 

이성희: 시간을 매개로 역사적인 사실과 풍경에 관한 논의를 풀어낸 작업으로, 서울의 4대문 중의 하나인 숭례문을 주제로 한 <경로: 도시풍경_숭례문(Passage: Cityscape_Sungnyemun)>(2006)이 생각납니다. 작업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문경원: 원래 지속적으로 시간의 경로를 통해 변화된 역사, 도시 풍경, 삶의 모습 등을 <경로(Passage)>라는 시리즈로 스케치해 왔습니다. 일례로 숭례문은 항상 그 자리에 고정되어 있지만, 숭례문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풍경은 지리적, 역사적으로 역동적인 변화를 보여줍니다. 2006년 99년 만에 개방된 홍예문(숭례문의 중앙 통로) 아래서서 처음으로 숭례문 주변 풍경을 바라보며, 늘 주변에서 바라만 보던 숭례문을 그 중심에 서서 거꾸로 도시 풍경을 응시하게 되었어요. 이를 계기로 숭례문이 주체가 되어 기억하고 바라 본 모습을 기록하고 재해석하게 되었습니다. 2006년 쌀쌀한 날씨 속에 숭례문이 주체가 되어 마주보고 돌아가는 풍경을 담기 위해, 마치 콤파스로 주변을 돌리듯 사방을 돌아가면서 영상으로 담아내던 시간들이 생각납니다.
 

이성희: 그래서 특히나 2008년 ‘숭례문 전소’라는 슬픈 역사적인 사건은 본인에게 더욱 특별한 의미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그때 기분이 어떠셨나요? 이 사건은 본인 작업에 어떤 영향을 주었고, 어떤 작품으로 발전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문경원: 서울의 4대문 중에서도 국보 1호인 숭례문의 전소는 사회전반적인 심리적 충격만큼 제게도 상실감이 컸습니다. 이미 애정을 가지고 작업으로도 담았던 곳이었기 때문에, 전소 직후 가보았던 현장의 느낌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특히 잿더미가 된 현장의 풍경과는 역설적으로 가까이 걸어가면서 느꼈던 은은하게 퍼져있던 노송의 향기가 생생합니다. 이후 기관이나 기업들은 사회적 상실감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물론 저에게도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있었고, 2006년부터 진행하던 시리즈의 II, III 등을 계속 제작했습니다. 작년에는 서울 스퀘어 미디어 파사드에서 숭례문 작업을 선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작업이 적절한 사이트를 찾아서 보여지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서울 스퀘어는 바로 옆에서 전소 사건 이후 숭례문이 복원되고 있고, 서울역 바로 맞은 편에 위치해 있으므로 사람들이 출발과 도착할 때 마주하는 미디어 캔버스가 됩니다. 숭례문이 해체되고 다시 모이고 하는 반복의 과정을 통해서, 하나의 존재가 기억하고 있는 여러 가지 이야기와 시간성 등이 실제 장소에서 사람들과 조우하게 되는 것이죠. 아직 제작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숭례문의 역사, 주변 풍경에 대한 인상과 조선왕조 실록의 기록및 신화를 가지고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벌어지는 두 번째 상상 다큐의 시놉시스를 끝내 놓았습니다.
 

이성희: 장소와 주변 풍경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 제주도에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명상 센터 지이어스 로사이에 설치된 작품 <어제의 하늘(Sky_Recorded Today)>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작업의 아이디어를 어떻게 찾으셨나요?
 
문경원: 이 작품은 사람들이 어제 아니 지난 시간을 실제로 경험하게 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상징적으로 만들어보고자 한 것입니다. 실제 제주도의 심한 날씨 변화에서 착안을 했습니다. 밖이 아무리 맑고 화창하더라도, 관람객은 이 작품에서 어제의 흐린 하늘을 바라볼 수도 있고 혹은 비 오는 하늘을 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 플레이되고 있는 하늘 영상은 사실은 24시간 전의 하늘이 제가 만들어낸 프로그램 상에서 하드에 저장되어 다시 불러지는 형식이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이미 기록된 다섯 개의 영상이 그 하늘 위에 랜덤하게 같이 플레이되는 구조입니다.
 

이성희: 이 프로젝트에서는 건축가와 협업을 하셨는데요, 어떠셨나요? 다른 분야의 예술가들과 협업하는 것을 즐기시나요?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설명해주세요.
 
문경원: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의 협업은 사고와 경험의 폭을 확장시켜 줄뿐 아니라 하나의 아젠다를 놓고 실제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소중한 경험입니다. 프로젝트에 따라 진행 방식은 다르지만 실제 제작을 위해 의견을 나누기 위한 많은 대화와 미팅이 선행되고, 그 과정에서 각자의 시각을 객관화하고 더욱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상대를 이해시키고 설득하기 위한 과정들은 논리성이 전제되기 때문이죠. 또한 협업뿐 아니라 많은 크루 등과 제작을 진행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여러 사람과의 조우는 작업의 깊이를 더해가는데 매우 중요한 경험들입니다.
 

이성희: 이 작품이 2008년 9월부터 두 달 동안 여러 공간 (토탈 미술관, workroom 윈도우 갤러리, 원앤제이 갤러리, 두아트 서울)에서 진행된 윈도우 갤러리 투어 프로젝트 <버블톡>으로 발전된 것이죠? 이 프로젝트에서4개의 서로 다른 공간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건가요?
 
문경원: 비슷한 시기에 제작했습니다. 평창동, 사간동, 통의동, 인사동 등은 한국 현대미술의 풍경을 기억하고 있는 의미 있고 상징적인 장소들입니다. 따라서 그곳의 여러 미술관/갤러리의 윈도우 건축은 끊임 없이 변모하는 풍경을 담아내게 되는데, 그 풍경을 따라가면 한국 미술의 역사를 잇는 동선과도 만나게 됩니다. 사실 프로젝트의 본래 의도는 서로 다른 공간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각 공간의 장소성을 동시적으로 강조하는 교차 풍경을 연출하는 것이었지만, 공간들의 일정상, 릴레이 식으로 바꾸었어요. 이로써 현재와 과거, 실제와 허상, 보기와 보이기 등 일상적 논제들을 시각화하고자 했습니다.
 

이성희: 그런데 왜 ‘버블’인가요? 사실 ‘버블’이란 단어는 다소 견고해보이지 않은, 즉 부정적인 의미가 강한데요, 이 버블 안에 ‘풍경’을 담은 특별한 이유가 있다면?
 
문경원: 본래 버블은 찰나, 순간, 허무함, 가벼움 등의 단어를 떠올리게 하는데, 이런 관념들의 속성은 견고해보이지 않는 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내가 담아낸 버블 속 풍경은 각각 다른 장소에서 부유하면서 결코 터지지는 않습니다. 여기서 버블은 ‘예술’ 혹은 ‘예술을 대하는 나의 태도’입니다. '예술작품으로 규정되는 대상'이라고도 할 수 있구요. 예술의 메커니즘을 드러내 보여주는 장치로서, 그것은 예술의 행위 혹은 역할에 대한 질문과 같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공간적 특수성과 맞물려 만들어내는 톡(talk)을 보여주고자 한 것입니다.
 

이성희:본인이 예술을 대하는 태도는 어떤 것인가요? 한국에서 대학 졸업후 미국에서 미디어를 공부하셨는데요, 미국의 학업과 생활이 예술관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었나요?
 
문경원: 미술의 외적인 형식 논리보다는 개념의 중요성, 나에게 있어서 미술의 의미, 그리고 미술이 존재하는 사회 문화 내에서의 역할 등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즉 미술의 본질이나 고유한 힘 같은 것을 더욱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방인으로서의 문화적 경험, 그리고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습득과 영화, 연극, 공연예술 등과 연계된 확장된 작업의 경험은 이후 작업을 더욱 유연하게 만들어준 것 같습니다.
 

이성희:다음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있나요?
 
문경원: 지난 가을 동경의 도쿄원더사이트(TWS)에서 전시와 세미나를 통해 구체화된 것인데,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출발한 아젠다를 가지고 여러 분야의 사람들을 인터뷰를 한 뒤, 그것을 토대로 가상 대화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예술의 존재 가치를 반성하는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현대 예술가들의 지정학적 위치와 예술의 행태, 태도’ 등 입니다. 이에 관해서 다각도로 여러 분야의 사람들의 의견을 통해 접근해보고, 나름의 향방을 예측하여 예술의 실천적 가치를 반성해보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건축가, 작곡가, 사회학자, 과학자, 비평가, 작가등 여러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서 가상의 대화를 시각적으로 재미있게 만들어볼 생각입니다. 시사만평의 프레임을 빌려오던지 지난 번 진행한 버블톡의 다른 버전의 톡(TALK)을 만들 예정이에요. 또한 2012년 준비하고 있는 공동 작업의 시놉시스로도 발전 시킬 계획입니다.
 

이성희:물론 작가님은 미디어 테크놀러지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아티스트’로 많이 언급됩니다. 그러나 작업 초기부터 지금까지 아날로그 드로잉과 디지털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2010년 개인전에서는 드로잉, 회화, 영상, 애니메이션, 설치 등 미디어와 장르를 두루 섭렵하는 선택을 했는데요. 본인에게 ‘미디어’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작업의 제작 과정을 예로 들어서 설명해주세요.
 
문경원: 작품 제작의 과정에 가장 선행되는 것은 ‘그리기’ 입니다. 드로잉은 머릿속 상상이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어요. 이 과정을 요리와 비교해본다면 어떻게 만들지 레시피를 만드는 것이죠. 미디어의 선택은 이후 요리를 위한 조리 도구입니다. 그 다음은 재료를 분리하듯 이미지 소스를 분류하여 데이터화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맛을 내듯 상상 속의 움직임을 숫자로 코딩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거나 소스들을 편집하여 새로운 내러티브를 구성합니다.
나에게 있어서 미디어는 나의 생각을 담아내는 유용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표현하려는 내용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 잘 녹아든 매체(medium)죠. 물론 전통 예술과 달리 현대 예술에 있어서 테크놀러지의 확장과 장르간 융합은 분명 다른 차원에서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열고 있습니다.
 

이성희:작가님의 작업에서 가장 자주 발견되는 것은 ‘풍경’에 관한 이야기다. 사실 풍경은 우리 눈에 들어오는 가장 일차적인 대상이며, 우리 역시 누군가의 풍경의 일부지만, 우리는 사물과 풍경에 ‘삶’이 존재한다는 생각은 못하고 삽니다. 그러나 작가님은 우리에게 풍경이 인간과 함께 다양한 모습으로 숨쉬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데요, 본인에게 ‘풍경’이란 어떤 의미인가요.
 
문경원: 제가 말하고 싶은 풍경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애정입니다. 인간의 실존이 결여된 채, 단순히 사물과 사물의 관계로만 이루어진 ‘박제’된 풍경을 거부합니다. 내가 번역하고 새롭게 그려내는 풍경은 어떻게 현대 예술이 현실 속에서 호흡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Imprint

Authors

Sunghee LEE

MOON Kyungwon, 문경원

Topic
Conversations
Date
Tue, 1 Mar 2011
Tags
Women in Art History East Asia Diaaalogue
Share

Relevant content

AAA Project Space, Archiving Materials
Ideas is AAA's New Online Journal
Press

Ideas is AAA's New Online Journal

Asia Art Archive publishes new essays, interviews, and curated journeys through the research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