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rsations

Interview with Sasa[44]

Interview with Sasa [44]
한국어

Hyejo Yum: In a recent piece, the statement “Oishi, Oishi,” was written on a placard at the entrance to the Nam Jun Paik Museum, which you made for the museum’s inaugural exhibition. The label explained that these were Paik’s last words on his deathbed. It revealed how much of your work depends on archival research, and how an exponential amount of information is being produced and accumulated into a new history overnight. Moreover, the infinite sources and amount of information being produced through developments in new media cannot remotely be compared to the past. I’m curious to know how you process and document this new history – what’s in a day’s work for you? 

Sasa[44]: I like looking and reading about many things. Usually, I wake up at around 3 or 4 a.m. and listen to CNN, BBC and YTN (Yonhap Television News). At the same time I am on the internet. At 6 a.m. all of the Korean television news broadcasts start. After hearing the SBS signal at 6 a.m. I watch the news; then I listen to Son Seokhui at 6:15 a.m.; at 7 a.m. I turn to 107.7FM; at quarter past I listen to Son again; at 8 a.m. I switch back to 107.7FM again. Sometimes I prepare for the morning, other times not; it depends on the situation. Nine o’clock is formally reserved for bank and post office errands, so I do work related to that. My schedule changes depending on the day of the week but this is pretty much how my day passes. I live my life between my sleeping patterns: I wake up before the sun rises, and go to bed after seeing the sun set.


It’s a schedule where you process a lot of information - it rivals that of a fund manager! You seem to have been a collector of information from an early age. At the 2007 exhibition, ‘Horns of a Dilemma’ (Ilmin Museum of Art), you showed a particularly intimate side of the artistic progression that you and your collaborator MeeNa Park have made over the years; not only did you show old student works, but also some of you special ‘collector’s objects’. Judging by the exclamatory comments and notes that you wrote in over the headlines (“I can’t believe it!”) it seems that you had an early interest in issues pertaining to politics and society, To a certain extent it doesn’t seem that there’s been much of a transition from these early interests to your current practice. What interests me is how you began to work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Isn’t it true that you started off in music and is that something not often seen on other Korean artists’ resumes?

I’ve been asked this question many times. Actually, I just started collecting things when I was a young child. I wasn’t told to do it, I just liked it. There were a lot of different categories: comic books, toys, newspapers, etc. From a certain point, I started to think of music, culture, art and design as being grouped together in the same category, so I never worried about experimenting any of those areas. Some of my artist friends say that it was a positive thing that I didn’t receive any formal art training, but I don’t know if that’s true. I’m not someone who lives according to a plan, I just goes with the flow, and somehow this is where I ended up. What I’m saying is that, in my case, the ‘somehow’ literally means ‘by complete chance’.


In your work, it seems that your interests are very broad,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certain areas which are emphasized within that scope of interest. In particular, Korean popular culture of the 1980s and 1990s, and a kind of Korean/American/Japanese archive which seem to serve as the foundation of much of your work.

I’m interested in a variety of things. The fact that there are particular elements that I focus on is also found in contemporary art in general. Whether it’s Kim Tschang-yeol’s water droplets, or Ham Jin’s sculptures. in a way, it is pretty obvious why this should be. I was born in the early’ 70s, and since I grew up in Seoul in the 80s and 90s it seems natural that American and Japanese elements would appear in my work. 


As someone who was also born in the ‘70s, I agree that American and Japanese popular culture had an undeniable impact on Korean culture, and many of my own childhood memories are inextricably linked to 1980’s pop music. In your work, however, I don’t get a sense of nostalgia for the ‘80s. Instead of being laden with emotion, your work seems to convey that time with a dry voice.

You started working with MeeNa Park with the exhibition at Ssamzie Space in 2003, you exhibited with her in Israel and had a large collaborative show at Kukje Gallery last year. Although Park largely works with paint and you euse a diverse range of mediums, both of you base your work on a laborious and logical practice of research into the structures of social and cultural systems. Although you have collaborated on projects where you discuss a concept from start to finish, the Kukje exhibition seemed more like a two separate solo shows. Could you talk about the process of developing concepts of works such as How Much is Enough? (2003) How did the audience react when you actually started selling in the gallery and delivering objects? 

First, we started to discuss the bigger picture, and we each came up with five separate ideas. After repeating this process a couple of times, we chose certain elements to incorporate and we finally drew up a plan. As soon as the final plan is devised it’s a race to meet the deadline of the exhibition opening. I remember the audience’s response being something like “What the..? I liked it,” but it also seems that some critics didn’t like the piece very much.


It seems that you and Park have collaborated quite closely on projects over the years, but as I mentioned earlier, it seems that the show at Kukje was more of two solo shows rather than a collaborative exhibition. Was it because the space of the gallery was so large?

Actually the gallery proposed doing two separate solo shows.


The thought process behind the technique of featuring others’ works of art in your own is particularly fascinating. You have said before that originality is impossible after Marcel Duchamp and John Cage, yet the scope of ‘featuring’ can be endless. Is it enough to just find common elements in subject matter? Does a ranking system between ‘host’ [主] and ‘guest’ [客] exist or do you consider them equal?

You have to look at the history of featuring itself. It started out with young, unknown musicians who would invite well-known artists to participate in their work as a means of showing respect. If you look at the music scene today, it’s turned into a process of mutual benefit where friends help each other out on albums. I started off thinking that it might be interesting to try thi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and it now constitutes an important part of my work. Of course, when I feature an artist in my work I have to know the work very well and there has to be respect for that work. You can think of it in terms of an original musical score, and how it differs from an arrangement of that score made by someone else.


In that case, the role of casting director must also play an important part in your work. I remember thinking how unusual the casting was when looking at Things that Make My Life Worth Living #1 (2004), the collaborative work you did with the photographer Jeong Mee Yoon. For people who have seen the photograph, it might conjure the image of a small child in a room crammed full of blue and pink toys, since it is a photograph of a famous Korean psychologist sat in your studio and surrounded by the objects of your obsessive collecting mania. In an attempt to work out what made the image so unusual, I reversed the question and started to think about where you draw the line between what’s yours and what’s mine, and whether the originality of the piece doesn’t in some way lie in the ambiguous boundary between the two. The confusion almost generates a kind of adrenaline rush. How does it differ from the artistic collaborations that have become such a common part of contemporary art.

I contacted Jeong Mee Yoon after seeing her ongoing project ‘Places People Places’. This was before she had done her ‘Pink, Blue’ project. The defining points of originality and their vagueness can change upon the perspective from which they’re viewed. Featuring is not the same thing as collaboration. It is completely different, beginning with the initial concept. In a collaborative work, you start off with a blank slate whereas with featuring you start from the context of respecting and acknowledging the other person’s work. as with the example of the musical arrangement I mentioned earlier.


In your first solo exhibition, 'Show, Show, Show' (2005), you featured French choreographer Jérôme Bell’s work, The Show Must Go On. It seemed like a very informal way of introducing your work for the first time. What parts of Bell’s piece did you choose to highlight, and how were you able to create a different piece?

I saw his piece after Kim Sunghee, director of MODAFE, the Korean Modern Dance Festival, and the critic Lee Chungwoo strongly suggested I take a look at it. I really liked it and thought about it for a long time. Eventually, I wrote a letter to him, and commissioned a Korean version to be made, and so we were able to begin the project. It ended up being quite different in nature from the original work, because so many people participated and we had many restrictions, but the overall framework and form were of a similar vein. I had a lot of fun doing the piece. I rearranged the piece using elements of Korean pop lyrics that had an extremely personal but also general significance, but in a way that didn’t destro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original piece, which served as the basic framework. As a first solo show, it was just right.

The curator and writer Binna Choi once wrote of your work that “instead of being presented with ‘good’ art that depends upon an innovative and structuring imagination that joins together intellect and emotion, Sasa[44]’s work confronts us with a blunt and autistic force.” The viewers who entered the room with your work at the ‘Hermes Missulsang’ exhibition (2007) must have been a bit baffled. There were several obituary-like English texts summarizing the lives of Louis Armstrong, Akira Kurosawa and so on, written on black backgrounds and framed in white; in another part of a room there was a Woody Allen movie playing. And the title of the piece was Chinese Box. Would it be right to call it a kind of perplexing riddle? It’s possible to get a sense of a self-enclosed, autistic world where the meaning is only clear to the self, and I’m curious to know how much of a role the viewer play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ork?

The issue of the viewer is separate from the process of beginning the work. I start off by picking out the materials in my mind, and thinking of ways of putting those elements together to make the finished product; I make decisions after visiting the site and then create the plan and use that to finish constructing the ‘house’. In this case, what gives contemporary art an element of fantasy and makes it so attractive is that it can have an individual sphere of existence - it doesn’t have to concern itself with the food, the building or the various people involved. If there are likes and dislikes about the finished piece, then one can only be thankful.


It seems that this type of work would be difficult to show somewhere like the Seoul Museum of Art. Do you agree? I ask this because it seems that success of most of the exhibitions there is measured in attendance figures, so rather than showing work that poses questions, there is a tendency to show work that brings instant satisfaction, or that sparks viewers’ curiosity.

I’m not convinced that the piece couldn’t be shown at the Seoul Museum! 


You say that yours is a field of art where you don’t have to be mindful of others, but there must be issues that inevitably come up. Generally video works don’t sell well to collectors, and are quite exhausting to produce, both economically and emotionally. Even though the Korean art market has been booming, the sudden economic crisis has left conditions somewhat uncertain. In Korea, where there are at most 100 major collectors, they have started to buy works of art as investments. It seems that you haven’t been affected by that trend, just as there are two ‘Sinsa-dong’ (a district in Seoul), one rich and one poor, in the same city.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as someone living in a different sector of the Korean art scene?

Having to be concerned with these kinds of issues is separate from the content of my work. This is because my work is made within the initial production costs, so there is relatively little risk. There is not much room for a third party to intervene. I make the decisions from start to finish. The question of selling or not selling works is a different issue. There isn’t anything in the world that can’t be sold. But when I get lucky and sell a work, I’m thankful. I just live in a world where I acknowledge that two Sinsa-dongs exist.


You put a lot of effort into the documentation process, from the catalogues that contain your work, to collecting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that are central to documentary projects like Our Spot. Most of your catalogues are designed by Sulki Choi and Min Choi of Specter Press. In a way, these publications seem like extensions of your work.

It’s true. I’m the happiest when I am working on documentation to be published in catalogues. I’m thankful for Sulki and Min and Edam.

 

혜조 염: 작년 백남준 아트센터 개관전에서 전시 공간 입구에 현판처럼 걸려 있었던 ‘오이시이, 오이시이’ 라는 문장이 백남준의 임종 전에 남긴 마지막 발언이었다는 작품 설명을 읽은 기억이 있는데요. 이렇듯 Sasa[44]씨의 작품이 매번 얼마나 많은 리서치를 바탕으로 하는 아카이브 작업인지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문득 궁금해 지는 점은, 우리가 단 하룻밤을 자고 나도 기하급수적으로 “새로운 역사”가 축적이 됩니다. 더군다나 매체의 발달로 과거와는 비교도 안되게 정보의 소스와 그 양이 무궁무진해졌습니다. Sasa[44]씨는 어떻게 이 “새로운 과거”를 “정찰”하고 기록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하루 일과도 궁금합니다. 

Sasa [44]: 보통 새벽 3~4시에 기상해서 cnn bbc ytn 을 틀어 놓고 인터넷을 동시에 합니다. 6시가 되면 공중파가 시작합니다. sbs의 시그널을 들으면서 서울 뉴스를 보고 6시15분이 되면 손석희를 듣고, 7시에 107.7을 듣고, 15분에 다시 손석희, 8시에 다시 107.7입니다. 그사이에 아침을 해결할 때도 있고, 없고 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9시가 되면 은행과 우체국이 공식적인 일하는 시간이라 관계되는 일을 합니다. 스케줄은 요일 별로 조금씩 다릅니다. 대게 이런 식으로 쳇바퀴 돌듯 하루가 지나갑니다. 해뜨기 전에 일어나서 해지는 거 보면서 자는 패턴 속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혜조 염: 정말 펀드 매니저를 능가할 정도의 정보를 소화하는 치열한 스케줄이네요. 2007년에 박미나작가와 함께 하셨던 ‘딜레마의 뿔’이라는 전시에서는 두 분의 과거 습작뿐 아니라 현재에 이르기까지 작가의 관심영역과 “특이한 애장품”을 두루 엿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Sasa[44]씨는 학창시절부터 신문 스크랩을 즐겨 하시면서 때로는 첫머리에 “도대체가 이해가 안 된다...” 라는 격앙된 목소리로 그에 대한 의견을 적어놓곤 했던 걸 보니 유별나게 정치∙사회 분야에 관심이 많으셨던 모양입니다. 어떻게 보면 전환기라는 것이 따로 없어 보일 정도로 현재의 작업방식과 닮아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미술이라는 틀 안에서 작업을 시작하게 된 경위가 궁금합니다. Sasa[44]씨는 귀가 따갑도록 질문을 받으셨겠지만, 사실 음대 출신으로서 현대미술작가로의 전환은 우리나라에서 특이한 이력이 아닙니까? 

Sasa [44]: 이 질문은 많이 받아왔습니다만, 솔직히 전 꼬마(국민학생) 때부터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수집을 좋아했습니다. 대상은 많습니다.  만화책, 장난감, 신문 등등..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부터 음악이나 건축, 문학, 미술, 디자인 등이 따로 분리할 수 없는 큰 틀에서 같은 하늘 아래 있다고 생각해서 그 부분엔 거부감이 없습니다. 오히려 주변 작가친구 들은 그 점(정규미술교육 안 받은)이 더 장점(?)이라고들 하는데;; 잘은 모르겠습니다. 제가 무슨 플랜을 하고 사는 사람이 아니라서 물 흐르는 대로 살자는 주의인데, 어쩌다 보니 여기(현대 미술)까지 왔습니다. 여기서 ‘어쩌다 보니’ 는 진짜 우연이라는 말입니다.
 
혜조 염: Sasa[44]씨의 작업을 보면 관심의 영역이 매우 넓은 것 같다가도, 매우 한정적이고 편중적인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대체로 80, 90년대의 한국의 대중문화사라든지, 이와 함께 미국, 일본의 세 나라에 기인한 아카이브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 같습니다.

Sasa [44]: 관심의 영역은 많습니다.  작업이 한정적이고 편중적인 부분이 있다는 점은 다른 현대 미술가를 보면 당연하게 보이실 겁니다. 김창열 화백님의 물방울 이라던지 함진작가의 조각 이라던지;;; 그것이 어찌 보면 너무 당연한 것이라고 봅니다. 제가 70년대 초반 생이고 당연히 80, 90년대를 그리고 한국 서울에서 태어나서 살면서 미국, 일본이 등장하는 것은 너무도 자연스럽습니다.
많이 보고 읽고 그런 일이 재미있고 좋습니다.

혜조 염: 저도 같은 1970년대 생으로서, 그 시대에 미국과 일본의 대중문화에 대한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데 동감합니다. 요새 십대들은 팝송을 거의 안 듣는 추세지만, 과거 로라장이나 겨울 빙판에서의 추억은 언제나 그 당시 배경에 흐르던 80년대 팝송과 불가분의 관계였거든요. 또 좋아하는 연예인은 언제나 헐리우드 배우였기에 스크린, 로드쇼를 매달 탐독하는 등 막연하게나마 미국문화를 동경했었던 걸 부정할 수 없습니다. (당시 사회 분위기가 그랬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경제침체까지 겹쳐서 불과 작년 초까지만 해도 세계 초강대국이었던 미국의 체면이 말이 아닌데요. 한때 팝송의 제왕이었던 마이클 잭슨의 몰락을 보듯이 측은해지기까지 합니다. Sasa[44]씨가 보여주는 당시의 사회사는 그러나, 그 시대에 대한 감상적인 향수가 아닌 오히려 건조한 보이스로 전달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혜조 염: 박미나 작가와는 2003년 쌈지 스페이스를 시작으로 삼성 호암 갤러리 및 이스라엘에서도 전시를 하셨고, 마침내 작년 국제에서는 큰 규모로 공동 작업을 하셨습니다. 박미나씨는 회화를 바탕으로 하고, Sasa[44]씨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두 분 모두 사회 ∙문화적 구조 체계에 대한 엄청난 리서치와 논리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는 공통점에서 출발합니다. 때론 논의된 컨셉에 맞추어서 그야말로 처음부터 끝까지 합동 작업을 하시기도 하지만, 국제에서는 (Sasa[44]씨의 치밀한 공간 디자인이 돋보이기는 했지만) 두 개의 개인전을 보는 듯 했습니다. 전자에 해당하는 “어느 정도면 충분하시겠습니까?”의 작업 과정이 몹시 흥미로웠는데, 컨셉 도출과정을 좀 얘기해주시겠습니까? 실제로 갤러리 안에서 개점하시고 물품을 배달까지 하셨는데 관객의 반응은 또 어땠나요?

Sasa [44]: 일단 서로 큰 그림에 대해 이야기 하고 각자 5개 정도의 아이디어를 놓고 또 토론합니다.
그런 과정을 반복을 하다가 몇 가지 요소들로 결정을 하고 거기에 대해 또 다듬고 결정 한 후에 마지막으로 도면을 칩니다. 도면이 나오면 마감날 (전시오픈) 까지 달리는 겁니다.
반응은 “대체로? 좋았다.” 라고 기억하는데 어떤 모 평론가는 맘에 안 드셨나 봅니다.^^

혜조 염: 무척 돈독해 보이시는 두 분께서는 우연히 공동작업을 시작하신 이래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말씀 드린 대로 국제갤러리에서 2인 전 같은 전시를 구상하신 것은 넓은 공간 때문일까요? 솔직히 저는 “어느 정도면 충분하시겠습니까?”와 같은 기발한 공동 작업을 또다시 볼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만.

Sasa [44]: 아닙니다. 저희는 항상 전시의뢰가 오면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주의이기 때문에
다른 전시랑 똑같습니다. 국제에서 2인 전을 하자고 이야기가 나왔고 전시를 했습니다.

혜조 염: Sasa[44]씨가 작품의 방편으로 삼는 ‘피쳐링’의 기저에 있는 생각은 흥미롭습니다. Sasa’[44]씨는 마르셀 뒤샹이나 존 케이지 이후 유일무이(originality)한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에서 시작하신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 피쳐링 대상의 범위가 무궁무진합니다. 대상과의 교집합적 요소만 찾으면 가능한가요? Sasa[44]씨의 피쳐링에는 主와 客의 위계가 존재합니까? 아니면 동등한 입장입니까?

Sasa [44]: 피쳐링의 역사를 보면 됩니다. 대중음악에서 초기엔 젊을 작가들이 대가를 존경하는 입장에서 모셔 오는 모양새였다면, 최근의 음악 씬을 보면 거의 ‘품앗이’로 친구끼리 도와주는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 일단 저는 이 방식을 현대미술에서 해보면 어떨까 생각했고 제 작업 방식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어떤 작가를 섭외 할 때는 물론 그 작가의 작업을 잘 알고 ‘respect’가 있어야 합니다. 똑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편곡자가 다르면 결과가 다른 그런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혜조 염: 그렇다면 배역감독(casting director)과 같은 역할이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거겠군요. 저는 윤정미작가가 참여했던 ‘내 인생을 살 만하게 만드는 것들 #1(2004)’에서 정말 기발한 캐스팅이라고 느낀 적이 있습니다. 그의 사진 작업을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발 디딜 틈도 없이 방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파란색, 또는 핑크색 장난감과 함께 있는 어린아이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는데, 바로 그 작가가 Sasa[44]씨의 작업실에서 작가의 강박 신경증적인 수집벽을 통해 모은 물건 더미에 둘러싸여 앉아있는 (한국인이라면 다 알만한) 정신과 의사를 찍었으니까요. 그런데 기발하다고 느꼈던 원인을 한번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대체 어디서부터가 너의 것이고, 어디서부터가 나의 것인지 따져 물을 수 있는 그 originality의 경계가 참 모호하기 때문이 아닌가 하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아드레날린을 분비시키는 묘한 혼동을 준다고 할까요? 그런데 현대미술에서 많이 행해지는 또 협업(Collaboration)과는 어떠한 차이입니까?

Sasa [44]: 윤정미작가의 사람 공간 사람 연작을 보고 연락 드렸습니다. 핑크 블루 프로젝트 하시기 전이었습니다.
originality의 경계의 모호함은 생각하는 관점을 어디에 두고 보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협업(Collaboration)이라고 부르면 안됩니다. 그 출발 지점부터 다릅니다. 협업작업은 시작을 백지 상태에서 출발하는 반면, 피처링은 위에서 말씀 드린 대로 그분의 작업을 인지하고 respect하는 상황에서 출발합니다. 그래서 말씀 드린 것이 음악에서 편곡을 예로 들었습니다.

혜조 염: 그러고 보니 프랑스 안무가 제롬 벨의 무용 작품 <쑈는 계속되어야 한다>를 피쳐링한 적이 있으시군요. 그래도 명목상 첫 개인전이 이렇게 자유로울 수 있을까요? 원작의 어떤 부분에 포인트를 두고 또 다른 작품으로 출발하신 건가요?

Sasa [44]: 이 작업도 당시 모다페의 총감독 김성희씨과 평론가 이정우씨의 적극 추천으로 원작을 보게 되었습니다. 김 감독님이 한국버전을 의뢰하셨고, 원작을 보고 나니 너무 맘에 들어 한동안 고사했습니다. 결국 제가 제롬 벨에게 편지를 했고 그가 한국버전을 허락해 진행 될 수 있었던 프로젝트 입니다. 이 작업은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고 여러 여건상으로 제약이 많아 기존 작업과는 조금 다른 성격이었지만 전체적인 틀과 형식은 같은 맥락으로 즐겁게 작업했습니다. 일단 원작의 스트럭쳐를 기본 틀로 하고 망치지 않는 선에서 한국 가요 사에 기한 너무도 개인적인 혹은 일반적인 요소들을 배치해 만들었습니다.
첫 개인전으론 ‘딱’ 이었습니다.

혜조 염: 최빛나가 일전에 쓴 글을 인용해보면, “…’좋은’ 예술에 기대되는 지성과 감성을 연결하는 창조적이고 구축적인 상상의 여지 대신 우리는 Sasa[44]의 작업에선 우선 퉁명하고 자폐적인 대상과 마주해야 한다.”라고 Sasa[44]씨 작품에 대한 인상을 묘사한 적이 있습니다. 에르메스미술상 전시(2007)에서 관람객이 Sasa[44]씨 작품이 있는 방에 들어섰을 때는 충분히 당혹감을 느꼈을 것 같습니다. 휑한 방에는 검은 바탕의 액자에 묘비명처럼 루이 암스트롱이나 구로자와 아키라의 일생이 영어로 간단히 요약되어 있고 다른 한 쪽에는 우디앨런의 영화가 보여지고 있으니까요. 더욱이 작품 제목이 ‘A Chinese Box’ 입니다. 감을 잡기 힘든 수수께끼 같다고 할까요? 다소 퉁명스러워 보이고 자기만의 세계에 갇힌 “자폐적”인 느낌을 받을 수도 있는데, 솔직히 작업 진행 과정에 관람객을 어느 정도 의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서울시립미술관에서는 보기 힘든 전시유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Sasa [44]: 작업을 시작할 때 관람객은 다른 문제 인 것 같습니다. 일단 내 머리 속에서 재료를 고르고 그 요소들을 어떻게 조합해서 완성품을 만들 때까지 장고를 거듭한 후에 결정이 나면 도면치고 그걸 바탕으로 집을 완성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음식과 건축물과 다른 점은 건물주 나 여러 관계자의 눈치를 볼 필요 없는 예술 분야- 현대미술이 유일한 생존자라고 봅니다-이기에 매력이 있고 환상적인 곳입니다. 만약 그 결과물에 여러 가지 호불호 반응이 있다면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시립미술관에서 보면 안 되는지는 설득이 안됩니다.^^

혜조 염: 서울 시립미술관을 말씀 드린 것은 관람객 수를 미술관 운영의 성공 척도로 보는 관치 행정 때문인지 생각할 거리를 주는 작품보다는 즉각적으로 오감에 반응을 일으키는 작업 혹은 호기심 유발적인 작업이 유난히 많이 전시되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마침 현재 전시 제목이 ‘신오감도’네요)
그나 저나, 작가님이 눈치를 볼 필요가 없는 예술 분야라고 하셨는데 그러자면 포기를 해야 하는 부분이 생길 듯 합니다. 얼마 전 비디오작업으로 꽤 널리 알려진 작가를 뉴욕에서 만난 적이 있는데, 작품이 컬렉터들에게 팔리기 힘든 유형이라 경제적으로 심적으로 지친 상태라고 토로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현재의 갑작스런 경제 한파 때문에 잠시 주춤했지만, 한국 미술계도 엄청 호황이었습니다. 지속적인 컬렉터가 100명 미만이라던 한국에서 너도 나도 기웃기웃하는 투자 상품으로써 보여지기 시작했는데요. Sasa[44]씨는 그런 분위기에 여러모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때로는 마치 같은 서울에 있는 강남의 신사동과 은평구의 신사동이 다른 것처럼요. 또 다른 섹터의 미술계에 계시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Sasa [44]: 제가 눈치를 볼 필요 없다는 것은 작업의 내용과 결과 물입니다. 제 작업에 있어서 제작비는 어느 정도 비슷한 수준에서 하기 때문에 위험부담이 적습니다. 제3자가 개입해서 뭐라고 할 여지가 없습니다. 시작부터 끝까지 제가 결정합니다.
팔고 안 팔리는 문제는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이세상에 못 팔건 없습니다. 다만 운이 좋아서 작업이 팔리면 감사할 따름 입니다.
두 신사동을 인정하고 살아 갈 뿐입니다.

혜조 염: 역사적 기록물을 중요하게 다루시는 것 같이 ‘Our Spot: New York’과 같은 프로젝트 기록일지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Sasa[44]씨의 작업을 담은 도록 또한 심혈을 기울이시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디자이너 듀오인 슬기와 민이 편집 및 디자인을 맡고 있고요. 어떻게 보면 작업의 연장선상같이 보일 때가 많습니다만.

Sasa [44]: 맞습니다. 제가 가장 행복해 하는 순간입니다.
슬기와 민의 결과물 이담이에게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Imprint

Artist

Sasa[44], 사사[44]

Authors

Hyejo YUM

Sasa[44], 사사[44]

Topic
Conversations
Date
Mon, 1 Jun 2009
Tags
East Asia Translation Diaaalogue
Share

Relevant content

AAA Project Space, Archiving Materials
Ideas is AAA's New Online Journal
Press

Ideas is AAA's New Online Journal

Asia Art Archive publishes new essays, interviews, and curated journeys through the research collections